Focus
-
개교 76주년·종합대학 승격 70주년
2025-05-16 교류/실천
5월 18일은 경희의 개교기념일이다. 경희는 올해 개교 76주년을 맞는다. 올해는 경희가 종합대학 설립 인가를 받은 지 70주년 되는 해이기도 하다. 1949년 2년제 가인가 초급대학으로 출범한 경희는 1952년 4년제 대학 설립 인가를 거쳐 1955년 2월 28일 종합대학으로 승격했다. 이를 기점으로 경희는 비약적 발전을 거듭했다. ‘세계적인 대학’이라는 목표 아래 ‘경이로운 경희’의 역사를 써내려 왔다. 개교기념일을 맞아 경희정신과 역사, 미래비전을 살펴본다. 경희는 종합대학 승격 기념으로 1955년 5월 10일 교문인 등용문(登龍門)을 세웠다. 등용문에서 ‘문화세계의 창조’가 새겨진 교시탑, 교시가 상징적으로 표현된 본관 석조전, 그 우측 언덕으로 웅장하게 솟아오른 평화의 전당으로 이어지는 캠퍼스에는 경희의 미래지향적 이상향이 담겨있다. 인간의 인간적인 세상,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해 기여하는 것이 경희가 품어온 이상향이자 미래향이다.More -
개교 100주년 기념식에 보내는 메시지
2025-05-16 교류/실천
5월 18일, 경희가 개교 76주년을 맞는다. 경희의 역사는 1951년 피란지 임시수도 부산에서 신흥초급대학(1949년 가인가 설립)을 인수하면서 시작했다. 이후 경희는 ‘세계적인 대학’이라는 목표 아래 비약적 발전을 거듭하며 ‘경이로운 경희’의 역사를 써내려 왔다. 개교기념일을 맞아 경희학원 설립자 미원(美源) 조영식 박사가 남긴 ‘경희 100주년 기념식에 보내는 메시지’를 통해 경희정신과 미래비전의 의미를 살펴본다. 경희는 1954년에 ‘세계적인 대학’을 향한 비전을 선언한 데 이어 1964년에 비전을 구체화하고 구현을 당부한 ‘개교 100주년 기념식에 보내는 메시지’(이하 미래메시지)를 채택했다. 이 메시지는 1964년 10월 2일 개교 15주년 기념 제9회 학원제에서 발표했다.More -
‘경희정신’ 깃든 개교기념 상징물
2025-05-16 교류/실천
5월 18일, 경희가 개교 76주년을 맞는다. 경희의 역사는 1951년 피란지 임시수도 부산에서 신흥초급대학을 인수하면서 시작했다. 경희학원 설립자 미원(美源) 조영식 박사는 경희정신의 모태가 되는 저서 『문화세계의 창조』를 탈고한 1951년 5월 18일 대학을 인수했다. 이날이 경희의 개교기념일이다. 신흥초급대학은 1949년 설립됐다. 경희가 개교의 원년을 1949년으로 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개교기념일을 맞아 경희정신이 깃든 개교기념 상징물을 살펴본다. 입학의 기쁨부터 졸업의 영광까지 매 순간 구성원과 함께하는 ‘교가’는 1953년 개교기념일을 맞아 발표됐다. 조영식 박사가 작사한 노랫말에는 더 나은 우리의 미래를 함께 일궈가자는 열정과 염원, 문화세계의 창조를 목표로 한 문화 복리(福利) 구현의 경희정신이 담겨있다.More -
차세대 양자소자 기술 핵심원리, 세계 최초로 규명
2025-05-14 연구/산학
‘위상(Topology)’은 물체가 가진 형태의 본질적 특성을 나타내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달걀과 축구공은 생김새는 다르지만, 구멍이 없는 둥근 형태라는 점에서 같은 위상을 가진 3차원 물체로 볼 수 있다. 하지만 이와 달리 도넛은 중앙에 구멍이 하나 있어 달걀, 축구공과는 다른 위상을 가진 물체다. 위상의 개념이 물질의 전자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는 사실은 ‘위상물질(Topological Materials)’이라는 새로운 개념을 불러일으켰다. 위상물질 중 ‘디락 준금속(Dirac semimetal)’과 ‘바일 준금속(Weyl semimetal)’이 유명하다. 바일 준금속은 전자가 마치 질량이 거의 없는 것처럼 빠르게 이동하며, 자기장의 세기와 방향에 극도로 민감하게 반응하는 새로운 종류의 금속이다.More -
한의학, 치매 정책에 혁신을 더하다
2025-05-14 연구/산학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만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1,000만 명을 넘어서며, 우리나라는 인구 5명 중 1명이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공식 진입했다. 또한, 통계청은 2045년까지 전체 국민의 37.3%가 65세 이상 노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초고령화에 따라 치매 환자 수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치매는 뇌전증, 뇌졸중과 함께 3대 신경계 질환 중 하나로 고령에서 발병해 삶의 질을 심각하게 저하시킬 수 있어 각별한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가운데, 한의학과 조성훈 교수가 보건복지부 산하 제5기 국가치매관리위원회 위원으로 위촉됐다. 국가치매관리위원회는 ‘치매관리법’ 제7조에 따라 설치된 정부 공식 심의기구로, 치매관리종합계획의 수립과 평가를 비롯해 국가 치매 관리 체계의 발전 방향과 주요 정책을 심의하는 중추적 역할을 맡고 있다. 특히, 2021년부터 시행 중인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의 안정적 추진을 위해 제5기 위원회는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와 관계기관 인사들로 구성됐다.More
많이 본 기사
멀티미디어
신간 안내
-
노비노 건강법
2025-02-06
이재동 교수가 알려주는 내 몸 에너지 혁명 노비노 건강법 ★ 한의학과 첨단 기술의 조화, 개인 맞춤형 건강 관리 ★★ 예방의학의 새로운 패러다임 내 몸 에너지의 생성, 순환, 균형 조절로 찾는 개인 맞춤 생활건강법! 이재동 이수지 홍예진 | 140*210 | 216쪽 | 무선 19,000원 | 2025년 2월 12일 ISBN 978-89-8222-792-9 (03510) 이재동 교수가 알려주는 내 몸 에너지 혁명 "몸 에너지가 정상화되면 비만과 질병은 저절로 사라진다" 현대인들은 질병이 생기면 병원에 가서 아픈 곳만 치료하면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목과 어깨, 허리 등의 통증이나, 불면증 어디든 아프면 병원에 가서 그 부분을 집중적으로 치료한다. 물론 수술이나 약물요법으로 증상을 개선하거나 불편함을 줄일 수는 있지만, 자기 몸에 맞지 않는 잘못된 생활 습관을 고치지 않으면 완치는 불가능하다. 경희대 한방병원 ...
More -
국경 간 전자상거래와 무역벤처 창업
2025-02-03
스타트업을 위한 무역벤처 창업 전략 국경 간 전자상거래와 무역벤처 창업 세계적으로 확산되는 국경 간 전자상거래에 대한 모든 것 기업가정신과 무역벤처 창업의 연계성과 전문성을 확립한다! 김학민 182×257 | 360쪽 25,000원 | 2024년 12월 30일 ISBN 978-89-8222-783-7 (93320) 지금의 국제통상 환경은 격변의 시기이다.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감이 증가하고 있고, 새로운 무역장벽이 강화되어 탈세계화로 인한 보호무역이 증대되고 있는 등 과거 우리가 경험하지 못했던 대내외 환경이 조성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의 발전과 함께 AI, 빅데이터, 자율자동차, ESG 적용 등 새로운 기술의 변화와 함께 기술적 패권을 주도하려는 선진국들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국경 간 전자상거래(cross-border e-commerce)의 지속적인 성장과 적용은 무역의 패러다임과 글로벌 공급망의 체계를 ...
More